소상공인 10명 중 9명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매출이 감소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소상공인연합회가 공개한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소상공인 경기 전망 긴급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설문에서 응답자의 88.4%가 지난 3일 비상계엄 사태 이후 매출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실태조사는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사흘간 진행됐다. 조사 대상은 음식·숙박업, 도소매업, 개인서비스업 등에 종사하는 전국 소상공인 1,630명이다.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이 기간 '매출이 50% 이상 감소했다'는 소상공인은 36.0%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50% 감소' 25.5%, '10~30% 감소' 21.7%, 10% 미만 감소 5.2% 등의 순이다.
매출 감소 금액으로는 100만~300만원이 44.5%를 차지했다. 이외에도 ▲'300만∼500만원' 29.1% ▲'500만∼1천만원' 14.9% ▲'1천만∼2천만원' 6.1% ▲'2천만원 이상' 5.4% 등이다.
또한 응답자의 89.2%는 비상계엄 사태 이후 고객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고객이 절반 이상 줄었다고 답한 소상공인이 37.7%로 가장 많았고, ‘30~50% 감소’ 25.3%, ‘10~30% 감소’ 20.2%, ‘10% 미만 감소’ 6.0% 등으로 집계됐다.
소상공인들은 연말 경기 전망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봤다. 응답자의 90.1%가 연말 경기에 대해 ‘부정적’이라고 답변했다. 세부적으로는 ‘매우 부정적’이 61.9%, ‘다소 부정적’이 28.2%로 나타났다.
류필선 소상공인연합회 전문위원은 “예약취소와 소비 위축으로 소상공인이 송년특수 실종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매출 감소가 현실화하고 있다”며 “연말 대목이 사라진 소상공인은 당장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처지다.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를 위한 정치권의 노력과 함께 소상공인 사업장 소득공제율 확대, 세제 완화 등 특단의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