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일주일만에 파산한 한동훈의 정치적 곡예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찬성으로 돌아섰다. 한 대표는 12일 국민의힘 의원총회에 참석해 윤 대통령 담화에 대해 "사실상 내란을 자백했다"며 '탄핵 찬성' 당론 채택을 제안했다. 한 대표는 "민주주의의 관점에서도 용납하지 못할 만한 대통령 담화가 나왔기 때문에 대통령의 직무를 조속히, 합법적으로 정지시키는 데 우리 당이 나서야 한다 말했다.

한 대표의 입장 자체는 특별히 보탤 것이 없다. 지금 일부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들을 제외하면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에 동의하지 않을 국민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이제서야 한 대표가 탄핵 찬성으로 돌아선 것은 대단히 부끄러운 일이다.

한 대표는 계엄이 선포된 시점에 곧바로 이를 반대해 헌정질서 회복에 기여했다. 그러나 한 대표는 자신이 속한 당의 정치적 미래를 우려해 즉각적인 탄핵을 반대했고, 무정부적 혼란이 지속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한 대표가 자신이 주도해 한덕수 국무총리와 함께 국정을 이끌겠다고 한 것은 아무런 헌법적 근거도 없는 위헌적 행위를 했다. 한 대표는 그 이후 질서 있는 퇴진이라는 명목을 내세워 '2월 퇴진-4월 대선', '3월 퇴진-5월 대선' 등을 제안했는데, 이 역시 어이없는 짓에 불과했다.

한 대표를 주저앉힌 건 역설적으로 윤 대통령이다. 한 대표의 주관적 희망에도 불구하고 윤 대통령은 권좌에서 스스로 내려올 조금의 의사도 없었다. 윤 대통령은 한 대표에게 권력을 나눠주는 척하여 지난 7일의 탄핵안 표결을 무산시키고, 곧바로 인사권을 행사해 자신이 여전히 대통령직에 있음을 과시했다. 12일에는 국민 모두를 기함하게 만들 폭언을 퍼부었다. 이런 사람을 믿고 '질서 있는 퇴진'을 운운했다니 황당한 노릇이다.

한 대표의 정치적 곡예는 일주일만에 파산했지만 그가 이 과정에서 보여준 행태는 비판받아 마땅하다. 무엇보다 국민 모두의 요구를 무시하고, 자당과 자파의 이익에만 골몰했으니 정치를 할 자격이 없다. 국민의힘이든 친한계든 국민의 위에 있을 수 없고, 있어서도 안 된다. 한 대표로서는 자신이 윤 대통령이나 친윤계보다는 낫다고 생각할지 모르나, 이런 발상 자체가 민주정치에 걸맞지 않고, 국민의 눈높이에 한참 뒤떨어졌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