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사고 여객기 ‘조류충돌->랜딩기어 고장’ 여부에 “명확한 확인 필요”

주종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이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무안공항 항공기 사고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4.12.29. ⓒ뉴시스

국토교통부는 29일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원인과 관련해 “명확한 조사를 해봐야 알 수 있다”고 밝혔다.

국토부 주종완 항공정책실장은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조류 충돌에 의한 랜딩기어 고장 가능성과 관련해 “목격한 내용과 기체 조사 후 결론이 다를 수 있다”며 “명확하게 조사를 해봐야 원인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처음 착륙을 시도하다가 관제탑에서 조류 충돌 주의 경보를 주자 얼마 안 있다가 조종사가 메이데이를 선언했다. 관제탑에서 활주로 반대 방향으로 착륙 허가를 줘 조종사가 수용하고, 다시 착륙하는 과정에서 활주로를 지나 외벽에 충돌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무안공항 관제탑은 이날 오전 8시 57분께 조류 활동 주의를 했고, 그로부터 1분 후인 8시 58분께 제주항공 여객기 기장이 메이데이 신호를 보냈다. 실제 조류 충돌이 있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해당 여객기는 오전 9시께 당초 착륙해야 하는 ‘01활주로’ 반대 방향인 ‘19활주로’로 착륙을 시도했고, 9시 3분께 랜딩기어 없이 착륙하다가 활주로 종단 외벽과 충돌했다. 

활주로 길이가 사고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과 관련해 주 실장은 “활주로 길이는 2천800미터다. 그 전에도 사고 항공기와 유사한 C급 항공기들이 계속 운항을 해왔다”며 “활주로 길이로 인해 사고가 발생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애초 정상 착륙을 시도하다가 복항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복항을 했다는 정보들이 들어오고는 있다. 무안공항의 관제기관과 항적을 정확히 따져보겠다”고 했다.

국토부는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가 사고 여객기의 2가지 블랙박스 중 비행기록장치 수거를 마쳤다고 밝혔다. 나머지 음성기록장치는 현장 상황에 따라 추가 확보를 시도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세부적인 사고 상황과 원인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