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자 김상욱 교수 “NASA가 개발한 은박담요, 한남동 키세스 시위대는 우주전사”

진보당 정혜경 의원이 시민들과 함께 폭설을 맞으며 윤석열 체포를 촉구하는 밤샘집회에 참여했다. ⓒ정혜경 의원 페이스북

3일 민주노총을 시작으로 연일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서 철야집회가 이어지면서 집회 참가자들이 보온을 위해 둘러쓴 은박담요도 눈길을 끌고 있다. 모양이 비슷한 초콜릿 이름을 따 ‘키세스 시위대’라는 애칭으로도 불리는데 물리학자인 김상욱 경희대 교수는 은박담요가 NASA 개발품이라고 밝혔다.

김상욱 교수는 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은박 담요 혹은 스페이스 블랭킷은 우주에서 보온을 위해 NASA가 개발한 것”이라고 썼다. 최근 SNS에서 화제가 된 함박눈에 파묻혀 응원봉을 들고 웃고 있는 진보당 정혜경 의원과 뒤에서 잠들어 있는 보좌관의 사진을 함께 올렸다. 주변으로 많은 집회 참가자들이 은박담요를 뒤집어 쓰고 있다. 

김 교수는 은박담요의 기본원리를 설명했다.

“열은 전도, 대류, 복사의 3가지 방식으로 전달된다. 전도와 대류에 의한 열손실을 막기 위해 모자를 쓰고 옷을 입고 신발을 신는다. 하지만 복사는 막기 어렵다”며 “복사는 온도를 가진 모든 물체가 전자기파의 형태로 에너지를 내보내는 현상이다. 고등학교 물리에서 배운 ‘흑체복사’다. 36도의 체온을 가진 사람의 몸은 적외선 대역의 복사를 한다. 적외선은 투과성이 좋아 옷으로 완전히 차단하기 힘들다. 진공의 우주에서는 복사가 열손실의 주된 이유가 된다. 그래서 우주에서 스페이스 블랭킷은 중요하다”

이어 “복사는 전자기파이므로 금속에서 반사된다. 금속 내부에는 자유전자가 있어 전기장의 크기를 0으로 만든다. 전자기파는 전기장의 진동이므로 금속 내부로 들어갈 수 없다. 따라서 반사된다”고 부연했다.

김 교수는 “은박이라고 하지만, 사실 은이라 아니라 알루미늄이다. 알루미늄은 지각에 가장 많은 금속이라 은보다 싸다”면서 “알루미늄을 얇은 플라스틱 소재에 코팅한 것이 은박담요다. 따라서 몸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반사하여 체온을 보존해준다”고 적었다.

김 교수는 “따라서 한남동의 키세스 시위대는 우주 전사라 할 만하다”고 응원의 뜻을 전했다.

해당 은박담요는 참가자 개인 및 노조 등에서 준비한 것도 있으나 함박눈을 맞으며 철야집회를 이어가는 참가자들을 위해 트위터에서 긴급 모금을 통해 후원물품으로 제공된 것이 대부분이다.

김 교수는 윤석열 탄핵안이 국회에서 가결된 지난달 14일에도 페이스북에 “언제나 민주주의를 온몸으로 지켜내는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인 것이 기쁘고 자랑스럽다”며 지지의 뜻을 나타낸 바 있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