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의원 40여명이 6일 새벽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으로 모여들었다. 공수처의 윤석열 체포 영장 집행을 몸으로 막겠다는 뜻이었다. 불과 3일 전 1차 체포 시도에 윤상현·박충권·이상휘 의원이 한남동을 찾은 것과는 다른 풍경이었다. 당 대표를 역임했던 김기현 의원이 "수사 권한이 없는 공수처의 불법 영장 집행은 막아야 한다"며 앞자리에 섰다. 임이자 비대위원 등 지도부 인사들도 참여했다.
1987년 이래 민주정치의 한 축을 담당했던 국민의힘의 타락은 참으로 볼썽사납다. 이들은 윤 대통령의 불법·위헌적 계엄 선포에 대해서는 미적대다가 야당 주도로 계엄해제가 의결되자 여기에 편승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의 탄핵에 대해서는 당론으로 반대했고, 이제는 사법부의 체포 영장에 대해서도 노골적인 반대 입장을 밝히기에 이르렀다. "총을 쏴서라도", "도끼로 문을 부수고라도" 민주주의를 짓밟으려 했던 대통령을 지키겠다는 것이다.
이들의 속내를 짐작하는 건 어렵지 않다. 지역적으로는 대구·경북을, 연령대로는 노인 인구를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는 반민주당, 반이재명 여론에 기대겠다는 것이다. 나라야 어떻게 되든 자신들의 입지만 지키면 된다는 식이다. 아니나 다를까 이날 새벽 관저에 몰려든 국민의힘 지역구 의원 36명 중 26명이 영남에 지역구를 뒀다. 수도권에서도 여당 텃밭이라고 할 지역구 의원들이 참여했다. 아예 계엄이 정당했다고 주장하는 전광훈 목사를 비롯한 극우 유튜버들과의 거리도 좁혀지고 있다. 이들이 주도하고 있는 탄핵 반대 시위에 여당 의원들이 참여하고 있고, 연단에 올라 황당한 주장을 직접 펼치기도 했다. 전 목사와 관계 절연을 공언하던 국민의힘은 이제 찾아볼 수 없게 됐다. 그런데도 당 지도부는 의원 개인 차원에서 일어난 일이라고 발을 뺐다.
윤 대통령이 끝까지 저항하겠지만 그를 대통령직에서 파면하고 구속 처벌하는 것은 결국 이루어질 일이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국민의힘을 그대로 두고 정치를 정상화시키는 건 불가능하다. 내란과 쿠데타를 옹호하는 자들과 단절하지 않고서는 민주공화국이 유지될 수 없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이 스스로 민주주의 정치의 일각이 되길 거부한다면 시민의 힘으로 이들을 끌어내려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장이나 지방의원은 주민 15% 이상이 찬성할 경우 주민소환 투표를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 유권자 1/3 이상이 투표해 과반 찬성으로 쫓아낼 수 있다. 국회의원이라고 달라서는 안 된다. 법 개정을 통해 국회의원에 대한 퇴출 장치를 마련하고 이들 내란수괴 '사수대'를 정치권에서 몰아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