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 기간 성수품 공급도 확대한다. 정부는 설 명절 16대 성수품을 선정해 공급량을 평시 대비 1.5배인 26만5천t 수준으로 늘린다. 그중 배추·무·사과·배는 정부 보유 물량을 평시의 3.9배까지 확대하고 과일류는 할당 관세를 도입한다.
특히 최근 가격 수준이 높은 배추와 무 수급 안정을 위해 비축, 출하조절시설 등으로 가용물량 총 1만1천t을 하루 200t 이상 가락시장에 방출하고 농협 계약재배 물량도 확대 공급할 계획이다. 명절 때 수요가 늘어나는 사과·배도 약 4만t(평시의 5.6배 수준)을 집중 공급한다.
소·돼지고기는 주말 도축장 운영 등을 통해 보통 때의 1.4배 수준인 11만t으로 공급량을 맞추기로 했다. 닭고기와 계란도 평소보다 각각 1.4배·1.8배 수준으로 공급을 늘릴 계획이다.
명태·오징어 등은 정부 보유물량 1만1천t을 마트·시장 등에 직접 공급해 시중가보다 최대 50% 싸게 판매할 계획이다.
정부는 올해 농축수산물 할인 판매를 위해 총 900억원을 지원한다. 역대 최대 규모다.
소비자는 농축산물을 정부 할인지원(20%)과 생산자·유통업체 할인(20%)을 포함해 최대 40% 싸게 살 수 있다. 이중 수산물은 정부 할인지원(20%)과 마트 자체 할인(최대 30%)을 더 해 최대 절반 값에 구매할 수 있다.
정부 할인지원 한도는 유통업체별로 매주 1인당 최대 2만원이다.
작년 180억원 수준이던 온누리상품권 현장 환급 규모도 270억원으로 확대한다. 환급행사 참여 시장도 전년 대비 75개 늘어난 280개소다.
온누리상품권으로 농축수산물을 3만4천원~6만7천원 구매하면 1만원의 상품권을 돌려받을 수 있다. 6만7천원 이상 구매시에는 2만원의 상품권을 환급받는다.
오는 10일부터 한 달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할인율은 10%에서 15%로 상향된다. 이 기간 디지털 결제액의 15%를 1인당 최대 8만원까지 디지털 상품권으로 환급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