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개회선언 없었지만 국무회의” 한덕수·최상목과 반대 증언

탄핵심판 7차 변론기일 증인신문 출석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이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7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2025.2.11 ⓒ뉴스1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은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직전 열린 국무회의에 대해 한덕수 총리 등 다른 국무위원과 달리 회의가 성립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전 장관은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증인신문에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증인신문 말미에 김형두 재판관은 이 전 장관에 국무회의 성립 여부에 대해 신문했다.

김 재판관은 당시 회의에 회의록 작성 등을 담당하는 행안부 의정관이 불참한 것을 묻자 이 전 장관은 “의정관한테 연락을 안 했을 것 같다. 국무회의가 워낙 비밀엄수, 보안이 생명인 상황이었다”고 답했다. 이 때문에 당시 국무회의는 회의록조차 작성되지 못했다.

김 재판관은 “개회선언, 안건설명, 폐회선언이 있어야 하는데 충족되지 않았다”는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의 진술을 제시했다. 이에 이 전 장관은 “개회선언은 당연히 없었다”면서도 “국무위원들은 국무회의를 한다고 생각했다”고 주장했다.

이 전 장관은 “장관 2년 넘게 재임하면서 국무회의 100번 넘게 참석했는데 이번 국무회의처럼 국무위원끼리 열띤 토론, 의사전달이 있던 것은 처음”이라며 “이튿날 1~2분에 불과했던 비상계엄 해제 국무회의보다 선포를 위한 국무회의가 훨씬 실질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대다수 국무위원이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의사를 듣고 크게 우려하며 만류했던 것이 국무회의 성립의 근거라는 주장이다.

한 총리는 해당 국무회의에 대해 “간담회 정도 되는 거 같다”고 진술했고, 오영주 장관은 “그냥 회의지 국무회의라 생각하지 않았다”고 진술하는 등 참석자들이 국무회의라 생각 못 한 것 같다고 김 재판관은 물었다. 이 전 장관은 “대부분 국무위원은 국무회의 한다고 생각했다”고 반복하며 “의사정족수인 11명이 되기까지 기다려서 나름 격식 갖추고 했는데 왜 그렇게 말하는지 모르겠다”고 답했다.

김 재판관이 ‘대통령의 국법상 행위는 문서로써 하며, 이 문서엔 국무총리, 관계 국무위원이 부서한다’는 헌법 82조를 제시하며 비상계엄의 관계 국무위원을 묻자 이 전 장관은 “국방부 장관”이라고 답했다.

또한 김 재판관이 최상목 부총리의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비상계엄) 보고하는 것 못 봤고, 안건이나 자료 받은 것 없다”는 진술을 제시하자 이 전 장관은 “김용현이 총리에게 보고하는 장면은 보지 못했다”고 시인했다. 국방부 장관이 국무총리를 거쳐 계엄을 건의하는 정상적 절차를 밟지 못한 정황이 재확인된 셈이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