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식 "계엄 전 김용현한테 '2200 국회' 문건 받았는데...파쇄했다"

"경찰 아닌 계엄군 출동 장소로 인식했다...내용 정확히 기억 안 나" 주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 (자료사진) ⓒ뉴시스

12·3 비상계엄 선포 3시간 30여 분 전, 윤석열 대통령의 호출로 조지호 경찰청장과 서울 삼청동 대통령 안전가옥(안가)에 간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이 당시 건네받은 A4용지 문건과 관련해 '기억이 나지 않는다'며 발을 뺐다. 김 전 청장은 "주의 깊게 보지 않았다"며 윤 대통령의 지시가 담긴 문건을 파쇄했다고 말했다.

김 전 청장은 이날 오후 헌법재판소에서 진행된 윤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 증인으로 출석해 '윤 대통령이 있는 자리에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A4 문건을 건넸나'라는 국회 측 질문에 "네"라고 답했다.

김 전 청장은 문건 내용에 대해 "전체적으로 기억나지는 않는다"며 "정확히 기억나는 건 '2200 국회'가 맨 앞에 있어서 기억한다"고 밝혔다.

김 전 청장은 "(김 전 장관의) 말이 정확히 기억나지 않지만 일종에 '참고하라'는 뉘앙스로 받아들였다"고 했다. '2200 국회'라는 글자를 오후 10시까지 국회로 출동하란 의미로 받아들였냐는 질문에 "시간대로 장소가 적힌 것으로 봐서 그 시간대에 (경찰이 아닌) 계엄군이 출동할 장소로 인식했다"고 말했다. 그는 "경찰에 대한 구체적인 말은 없었다"고 주장했다.

김 전 청장의 말과 달리, 국방부 양식으로 작성된 해당 문건에는 계엄 선포 뒤 경찰이 해야 할 임무가 적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청장은 문건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두루뭉술하게 표현했다. 그는 "시간과 장소 몇 군데가 적힌 걸로 기억한다"면서도 "나중에 언론보도를 보고 MBC와 여론조사 기관 '꽃' 정도 기억 났다. 그 외에 정확한 기억은 없다"고 말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국회의장 공관 등이 적시되었냐는 물음에 김 전 청장은 "기억이 없다"고 했다. 체포조 등 내용에 대해서도 "전혀 기억이 없다"고 했다.

계엄 직전 받은 문건을 소지하고 있냐는 질문에 김 전 청장은 "없다"며 파쇄한 상태라고 했다. '파쇄하기 전에 내용을 확인하지 않았냐'는 물음에 김 전 청장은 "주의 깊게 보지 않았다"고 답했다.

문건을 갖고 있는 것이 불리하거나 위험하다고 판단해 파쇄한 것인지, 윤 대통령이나 김 전 장관이 파쇄를 지시해서 이행한 것인지에 관한 질문이 이어지자 김 전 청장은 "평소에도 문서를 보면 스스로 파쇄를 많이 한다"고 말했다.

다만 김 전 청장은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아 문건을 유심히 보지도 않고, 바로 파기한 것이 맞냐'는 추가 질문들에는 "답 하기 곤란하다"며 말끝을 흐렸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