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10차 변론기일에 참석해 변호인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2025.02.20.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12·3 비상계엄 당시 정치인 등 특정 인물에 대한 '위치 추적' 요청이 있었던 데 관해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 조지호 전 경찰청장에게 책임을 돌렸다.
윤 대통령은 이날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10차 변론에서 진행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에 대한 증인신문 말미 의견진술 기회를 얻어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홍 전 차장은 비상계엄 선포 당일 밤 여 전 사령관이 전화해 체포자 명단을 불러줬고, 이를 받아적은 메모가 있다고 증언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아마 (지난해) 12월 4일로 기억되는데, 여인형 (당시) 방첩사령관과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위치 확인, 체포 이런 걸 부탁했다는 기사를 보고 저도 김용현 국방부 장관에게 '어떻게 된 거냐' 물어본 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그랬더니 두 사람 다 수사나 이런 거에 대해, 특히 여 사령관은 순 '작전통'이어서 도대체 수사에 대한 개념 체계가 없다 보니 위치 확인을 좀, 동향 파악을 하기 위해 (요청)했는데 경찰에서 '그건 현재 사용하는 휴대폰을 알지 않는 한 어렵다'며 딱 잘랐다고 이야기를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저도 그런 부분에 대해선 정말 불필요한 일이고, 잘못됐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윤 대통령은 "국정원 1차장의 메모와 관련된 문제는 그런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며 "저와 통화한 걸 갖고 '대통령의 체포 지시'와 연결해 내란과 탄핵의 공작을 했다는 게 문제"라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정치인 등 체포 지시를 부인하며 "여 사령관은 경찰에 물으니 경찰은 어렵다고 하고, 국정원은 미행이라도 하고 뭘 하니 위치 확인하는 데 좀 도움이 될까 해서 한 얘기를 이렇게 엮어서 대통령의 체포 지시로 만들어냈다는 게 핵심"이라고 역설했다.
윤 대통령은 김건희 여사가 비상계엄 전날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낸 사실에 관해서도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그 통화 내역이 어떤 건지 사실 좀 궁금하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제 처와 국정원장 간 휴대폰 문자를 주고받았다는 부분에 대해, 저도 알 수 없는 거지만 저와 제 처는 지난해 11월 7일 대국민 담화와 기자회견을 한 후 소통방식을 개선하고, 휴대폰을 바꾸겠다고 이미 국민에게 다 말했다"며 "저의 경우 비화폰을 국정원장과 썼다. 제 아내는 조 원장의 국가안보실장 시절 전화번호를 갖고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비화폰이 아닌 개인 휴대폰으로 바꾸고 원래 휴대폰을 다 없애버렸다. 때문에 저는 그 통화 내역이 어떤 건지 사실 궁금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