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인형이 수사 개념 없어서 한 일"...체포 명단 '위치 추적' 책임도 떠넘긴 윤석열

김건희·국정원장 문자 언급하며 "그 통화 내역 어떤 건지 궁금"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10차 변론기일에 참석해 변호인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2025.02.20.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20일 12·3 비상계엄 당시 정치인 등 특정 인물에 대한 '위치 추적' 요청이 있었던 데 관해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 조지호 전 경찰청장에게 책임을 돌렸다.

윤 대통령은 이날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10차 변론에서 진행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에 대한 증인신문 말미 의견진술 기회를 얻어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홍 전 차장은 비상계엄 선포 당일 밤 여 전 사령관이 전화해 체포자 명단을 불러줬고, 이를 받아적은 메모가 있다고 증언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아마 (지난해) 12월 4일로 기억되는데, 여인형 (당시) 방첩사령관과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위치 확인, 체포 이런 걸 부탁했다는 기사를 보고 저도 김용현 국방부 장관에게 '어떻게 된 거냐' 물어본 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그랬더니 두 사람 다 수사나 이런 거에 대해, 특히 여 사령관은 순 '작전통'이어서 도대체 수사에 대한 개념 체계가 없다 보니 위치 확인을 좀, 동향 파악을 하기 위해 (요청)했는데 경찰에서 '그건 현재 사용하는 휴대폰을 알지 않는 한 어렵다'며 딱 잘랐다고 이야기를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저도 그런 부분에 대해선 정말 불필요한 일이고, 잘못됐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윤 대통령은 "국정원 1차장의 메모와 관련된 문제는 그런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며 "저와 통화한 걸 갖고 '대통령의 체포 지시'와 연결해 내란과 탄핵의 공작을 했다는 게 문제"라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정치인 등 체포 지시를 부인하며 "여 사령관은 경찰에 물으니 경찰은 어렵다고 하고, 국정원은 미행이라도 하고 뭘 하니 위치 확인하는 데 좀 도움이 될까 해서 한 얘기를 이렇게 엮어서 대통령의 체포 지시로 만들어냈다는 게 핵심"이라고 역설했다.

윤 대통령은 김건희 여사가 비상계엄 전날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낸 사실에 관해서도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그 통화 내역이 어떤 건지 사실 좀 궁금하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제 처와 국정원장 간 휴대폰 문자를 주고받았다는 부분에 대해, 저도 알 수 없는 거지만 저와 제 처는 지난해 11월 7일 대국민 담화와 기자회견을 한 후 소통방식을 개선하고, 휴대폰을 바꾸겠다고 이미 국민에게 다 말했다"며 "저의 경우 비화폰을 국정원장과 썼다. 제 아내는 조 원장의 국가안보실장 시절 전화번호를 갖고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비화폰이 아닌 개인 휴대폰으로 바꾸고 원래 휴대폰을 다 없애버렸다. 때문에 저는 그 통화 내역이 어떤 건지 사실 궁금하다"고 했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