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부산교육감 진보후보 단일화, 내란옹호세력 막는 선거 돼야

오는 4월 2일 치러지는 부산시 교육감 재선거가 본 후보 등록 이틀을 앞두고 3자 구도로 좁혀졌다. 부산교육감 재선거는 초반 8명의 경쟁으로 시작됐다. 이후 보수진영에서는 후보 4명을 단일화해 정승윤 전 국민권익위원장 부위원장을 추대했고, 여기에 전 권한대행인 최윤홍 예비후보까지 2명으로 압축됐다. 반면 진보를 표방한 김석준·차정인 예비후보 간에는 단일화가 무산돼 4자 구도가 굳어지는 듯했다. 그런데 11일 차 예비후보가 전격 사퇴 의사를 밝히며 진보후보 단일화가 성사됐다.

차 예비후보는 긴급기자회견을 통해 “윤석열과 함께 가겠다는 내란 옹호 세력을 막는 게 우선”이라고 사퇴 이유를 밝혔다. 지난 교육감 선거에서 보수후보가 당선되었던 만큼 진보진영이 단일화 하지 않을 경우 승리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점, 특히 윤석열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내란을 옹호하는 후보에게 당선의 길을 터줄 수 없다는 점 등이 진보진영의 단일화를 강력하게 추동했다.

보수진영의 단일화로 추대된 정승윤 예비후보는 검사 출신이자 윤석열 캠프를 거쳐 국민권익위 부위원장겸 사무처장을 지낸 친윤계 인사로 알려져 있다. 정 예비후보는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 재임 시절 김건희 여사의 ‘디올백 의혹’ 사건을 “위반 사항 없음”으로 종결해 논란이 된 바 있었으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흉기 피습 당시 응급헬기를 이용한 것에 대해 “명백히 규정을 위반해 특혜가 제공됐다”고 직접 나와 발표한 당사자기도 하다. 이후 정 예비후보는 김 여사 사건과 관련해 괴로움을 호소한 직속 부하가 숨지는 사건으로 불명예스럽게 권익위를 떠났다. 그런데 최근엔 탄핵반대 세이브코리아 부산 국가비상기도회에 참가해 부정선거 음모와 윤 대통령 석방을 요구하며 연설까지 했다.

국민권익위 시절 국민이 아닌 권력자의 권익을 보호했던 그는 지금도 여전히 내란세력을 옹호하며 헌법과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일선에 서 있다. 극우 선동에 앞장서 있는 자가 민주시민의 자질을 키우는 교육의 수장이 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들은 윤석열 정부가 시도했던 뉴라이트식 역사왜곡을 넘어 반헌법·반민주라는 극우적 사고를 교실까지 끌어들이려 할 것이다. 충분히 그럴 수 있는 자들이기에 반드시 막아야 한다.

부산교육감 재선거는 하윤수 전 교육감의 선거법 위반 혐의 확정으로 치러지게 된 것이지만, 윤석열 탄핵 국면 한복판에 있는 선거인 만큼 그간의 교육감 선거와는 다른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다. ‘진보후보 단일화’를 통해 승리로 가는 첫발을 내디뎠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제 내란세력의 완전한 종식을 위해서라도 부산교육감 선거는 민주시민의 압도적으로 승리로 귀결되어야 한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