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내달 2일로 예정된 상호관계 발표 때까지 관세 부과와 관련해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12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미할 마틴 아일랜드 총리와의 회담을 가진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일관성이 없다’는 지적에 대해 “일관성이 없는 게 아니라 유연성”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자동차 업계의 요청을 받아들여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자동차 분야 관세를 1개월 유예했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향후에도 관세 부과와 관련해서 유연성을 발휘할 것인지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난 항상 유연성을 유지할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우리가 한번 시작하면 그때부터는 유연성이 매우 적을 것”이라고 했다.
이는 오는 4월 2일로 예정된 관세 부과와 관련해 협상을 통해 유연성을 발휘할 순 있지만, 관세가 부과되기 시작하면 그때부턴 협상의 여지도 줄어들 것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또 트럼프는 “4월 2일은 매국에 매우 중요한 날이 될 것”이라며 “미국은 다른 나라들이 우리한테 훔쳐 가고 미국의 무능한 지도자들이 (다른 나라가) 훔쳐 가도록 허용한 것들의 상당 부분을 되찾을 것”이라고도 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이 일부 국가에 관세를 좀 유예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시사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 증시가 급락한 것을 두고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보게 되면 증시가 급등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관세 정책으로 인해 오히려 미국 경제가 더 튼튼해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유럽연합(EU)이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25% 관세에 대응해 ‘맞대응’ 관세 조치를 발표한 것에 대해선 재보복에 나서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물론 대응할 것”이라며 “우리는 그 돈의 전투에서 이길 것”이라고 말했다. 유럽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고려하느냐는 질문에도 “완전히 그렇다”고도 밝혔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상대인 마틴 총리 옆에서 아일랜드의 대미 무역흑자에 대해 “우리는 엄청난 적자가 있다”며 불만을 드러내기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일랜드로 이전한 미국 제약사 등 기업들을 상대로 미국에 상품을 수출할 때 200% 관세를 매겼을 것이라고도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