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3구 아파트값, 7년만에 최대폭 상승.... '토허제 해제' 영향

한국부동산원, 3월 둘째주 전국 주간아파트가격 동향 발표

자료사진 (해당 기사와 관련 없는 사진입니다.) ⓒ뉴시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 아파트값이 2018년 이후 상승 폭을 기록했다.

한국부동산원이 13일 발표한 3월 둘째 주(1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20% 상승했다. 6주 연속 상승세다.

2월 첫째 주(0.02%) 상승 전환한 서울 아파트값은 둘째 주(0.02%) 상승폭을 유지했지만, 셋째주(0.06%)부터 상승 폭이 확대되기 시작했다. 2월 넷째 주 0.11%로 확대된 상승 폭은 3월 첫째 주 0.14%, 그리고 이번 주(0.20%)까지 4주 연속 상승 폭이 커졌다.

이 같은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는 강남3구가 이끌었다.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로 수혜를 입은 강남3구 위주로 아파트값이 급등하고 있다.

토허제 해제 최대 수혜 지역인 송파구의 경우 잠실동 위주로 가격이 급등하며 전주 대비 0.72%나 급등했다. 2018년 2월 첫째 주(0.76%)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강남구도 이번 주 0.69%나 올랐는데, 이는 2018년 1월 넷째 주(0.69%)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서초구 역시 2018년 1월 다섯째 주(0.69%) 이후 가장 높은 0.62%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강북 지역인 노동강(노원·도봉·강북구)은 보합(0.00%) 또는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다. 노원이 보합했고, 도봉은 0.01%, 강북은 0.03% 올랐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서울의 상승세에 힘입어 전주(0.02%)보다 0.05% 상승했다. 하락세를 이어가던 경기도가 보합 전환했고, 인천은 0.05% 내리며 하락세를 지속했다.

이번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보합 전환했다. 5대 광역시(-0.07%), 세종(-0.14%), 8개도(-0.03%) 등이 모두 내리며 지방은 0.05% 하락했다. 사실상 전국에서 서울에서만 가파른 상승세가 나타난 것이다.

한편 전국의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주와 동일하게 0.01% 올랐다. 서울은 전주보다 0.02%p 오른 0.05%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경기(0.02%). 인천(0.01%) 등도 오르며 수도권(0.02%→0.03%)도 상승 폭도 커졌다.

다만 지난주 보합한 지방 아파트 전셋값은 이번 주 0.01% 내리며 하락 전환했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