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MBK의 홈플러스 ‘먹튀’ 사회적 규제가 필요하다

홈플러스 대주주 MBK파트너스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다. 10년 전, 인수 당시부터 제기됐던 ‘사모펀드 먹튀’ 우려는 10년이 지난 지금, 기업회생신청으로 현실화했다. MBK는 홈플러스 인수 당시 5조원가량을 대출받았다. 지난 6년간 홈플러스가 지급한 이자만 2조5천억원에 달한다. 홈플러스는 흑자 규모가 점점 줄어들더니, 이내 적자기업으로 몰락했다. 매년 이자만 4천억원 이상을 쏟아부었다. 곳간이 남아날 리 없다.

5조원 대출 담보는 대부분 홈플러스 부동산 자산이었다. MBK는 인수 직후부터 매각을 시작했다. 최근엔 매출이 잘 나오는 지점까지 연이어 팔아치웠다. 경쟁력을 스스로 갉아먹는 자해 행위가 이어졌다. 피해는 노동자들에게 돌아왔다. 2015년 3만5천여명에 달했던 홈플러스 노동자들은 10년 만에 1만2천명 줄어 2만3천여명으로 쪼그라들었다. 사람은 계속 줄어드는데 신규 채용은 없었다. 남은 노동자들을 쥐어짰다.

과도한 전환 배치로 인력을 돌려막고 계산원을 매장 관리로 떠밀었다. 연이은 매각과 폐점으로 상시적 고용불안에 시달렸고, 최근엔 희망퇴직 압박도 시작됐다. 전국 120여개 매장에 입점한 8천여 소상공인과 수백개 납품업체도 맘 편한 날이 없었다. “기업가치와 영업이익을 끌어올리겠다”던 사모펀드 MBK 경영의 실체다.

기업회생을 신청한 행태도 상식을 벗어난다. 워크아웃도 없이 기업회생으로 직행했다. 대통령 탄핵으로 혼란한 틈을 타 법원에 뒤처리를 떠넘겼다. 홈플러스는 ‘선제적 조치’임을 강조하고 있으나, 이는 책임 떠넘기기 좋은 시기를 택했다는 자백에 불과하다. 홈플러스가 메리츠금융그룹으로부터 빌린 선순위 차입금 1조2천억원의 상환 시기는 오는 5월이다. 5월은 대선 국면일 가능성이 높다. 국내 최대 사모펀드인 MBK가 이런 현실을 고려하지 않았을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

이대로 MBK의 야반도주 ‘엑시트 전략’에 당해선 안 된다. 사태 수습을 위해 대주주 사재 출연 등 책임 있는 조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최근 더불어민주당과 진보당 등 야당이 홈플러스 사태 TF를 구성한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향후 진행될 회생절차에서 노동자와 입점·납품업체 보호를 위해 정부와 정치권은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국민연금의 적극적 역할도 주문하지 않을 수 없다. 홈플러스 투자금을 평가 기준에 따라 손실 처리했다고 손을 털고 끝낼 일이 아니다. 국민연금이 운용하는 자산은 국민이 피땀 흘려 번 돈이다. 그 돈을 받은 사모펀드가 되려 국민 목줄을 죄는데 나 몰라라 하는 것은 도리가 아니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