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교육감 재선거에서 진보를 대표하는 김석준 후보가 당선됐다. 2일 치러진 재선거에서 김 후보는 51%를 얻어 정승윤·최윤홍 후보를 꺾고 부산 교육의 수장이 됐다. 이번 선거는 하윤수 전 교육감이 선거법 및 교육자치법 위반으로 직을 상실하면서 치러졌다.
보수 성향의 하 전 교육감은 직무수행도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임기 2년을 맞은 지난해 6월 지역 교육시민단체인 부산교육희망네트워크는 교육이 과거로 후퇴했고, 교육청 행정도 낙제점이라는 학부모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서 응답자의 85.9%가 부산교육에 불만족을 표했는데, 매우 불만족 64.7%, 불만족 21.2%였다. 긍정적 답변은 3.4%에 불과했다. 부정적 평가의 주요 이유는 소통 부재, 일방적 행정, 평가위주 경쟁주의 교육, 학생 인권 관심 부족 등이었는데 불통과 과거회귀로 집약할 수 있다.
교육감 재선거에다 탄핵 와중에 치러지느라 투표율은 23% 정도로 무척 낮지만, 이번 선거는 시민 여론의 향배를 충분히 보여줬다. 무엇보다 탄핵 심판대에 올라 선고를 앞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평가가 강하게 작용했다. 검사 출신인 정 후보는 ‘친윤’ 간판을 단 인물이다. 국민권익위 부위원장으로 사정기관의 권력 도구화 논란의 핵심 당사자다. 이른바 ‘김건희 디올백 무혐의’를 주도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지금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자유민주주의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교육을 하겠다”는 주장을 전면에 내세웠다. 또한 극우개신교의 집중지원을 받았는데, 세이브코리아는 부산 전역에 ‘전교조 해직교사 특채논란 투표로 심판’이라는 색깔론적인 현수막을 다수 걸었다. 극우 행보를 보이는 전한길 씨가 정 후보를 지원하기도 했다. 결국 정 후보는 교회 안에서 손현보 세계로교회 담임목사와 마이크를 써 대담을 하는 선거운동을 한 것이 적발돼 선관위가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고발했다. 검사를 거친 고위공직자 출신이 너무도 명백하게 선거법을 위반한 것에 어리둥절할 정도다.
윤석열 정권과 보수 교육감들은 손발을 맞춰 뉴라이트 교육, 통제식 교육, 과열 경쟁교육을 밀어붙였다. 이번 선거로 부산시민들은 윤석열 정권과 구시대적 교육정책에 대해 거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아울러 사실상 친윤 정치인인 검사 출신 인사가 교육의 수장이 되는 것을 불허했다. 국민의힘과 보수세력은 이번 선거 결과에서 교훈을 찾아야 한다. 윤석열을 따라, 극우세력과 함께, 민주주의를 유린하고 국가공동체를 분열시키는 길로 가면 다가오는 대선과 내년 지방선거 결과는 뻔하다. 건전한 보수세력으로 살아남으려면 지금까지의 극우적 행보와 분명히 단절하고 새출발 해야 한다. 이름 바꾸고, 포장 슬쩍 갈아서 큰절쇼, 석고대죄쇼 하며 한번만 더 지지해달라고 읍소하는 것은 먹히지 않을 것임을 미리 말해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