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월~목 1시간 더 일하고 금요일 일찍 퇴근하는 ‘주 4.5일제’ 공약 추진

“민주당 주 4일제 및 4.5일제는 근로 시간 줄고 급여 그대로인 포퓰리즘”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는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뉴시스

국민의힘이 주 52시간 근로 규제를 폐지하고, 주 4.5일 근무제를 도입하는 것을 대선공약으로 추진한다.

14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 회의에서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주 5일제와 주 52시간 근로규제는 시대의 흐름과 산업의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획일적인 제도로서 유연한 근로 문화 구축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우선 주 4.5일제와 관련해 울산 중구청 사례를 거론한 권 비대위원장은 “총 근무 시간이 줄지 않기 때문에 급여에도 변동이 없다”며 “기존 주 5일 근무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유연한 시간 배분을 통해 주 4.5일제의 실질적인 워라밸 효과를 가져오는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울산 중구청은 월요일~목요일 하루 8시간 기본 근무시간 외에 1시간씩 더 일하고 금요일에는 4시간만 근무한 뒤 퇴근하는 방식을 주 4.5일제를 적용 중이다.

권 비대위원장은 “민주당이 주장하는 주 4일제 및 4.5일제는 근로 시간 자체를 줄이지만 받는 금여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비현실적이고 포퓰리즘적인 정책”이라며 “오히려 노동시장에 큰 혼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권 비대위원장은 “법정 근로시간 40시간은 유지하되 유연근로제를 통해 실질적인 주 4.5일제 도입의 이점을 늘릴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서 대선 공약에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이와 함께 ‘주 52시간 근로 규제’ 폐지도 추진한다. 권 비대위원장은 “산업현장에서는 일이 몰릴 때 집중적으로 일하고 반대로 일이 적을 때 충분히 쉴 수 있는 유연한 근무 환경이 필요하다”면서 “특히 반도체 등 첨단산업을 비롯해 주 52시간 규제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는 산업 분야를 면밀히 분석해 실질적인 제도 개선방안도 함께 마련하겠다”고 했다.

이어 권 비대위원장은 “유연근무제를 적극 활용해 산업·직무별, 생애 주기별로 다양한 근무 형태가 가능한 선진형 근로문화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비대위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난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이번 정책을 논의한 배경에 대해 "워라밸을 점차 중요시하는 시대로 가고 있고 사실 주 4일제로 가야한다는 주장도 일부 있다"면서 "그런데 저희가 보기엔 근로시간 줄이는 것 자체는 기업이 어렵다. 4.5일이 시간을 줄이는 게 아니라 주중에 1시간씩 더하고 금요일에 오전만 일하고 시간을 활용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김 정책위의장은 "주 52시간 근로시간제 유연화와 최저임금 차등 적용 문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대선 기간에만 관심을 보이는 데 그치지 말고 국민과 중소기업의 현실을 반영해 신속히 국회에서 입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