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외교 앞둔 이 대통령, 경제·외교 차관급 인사 단행

미국과 관세협상 이끌 통상교섭본부장에 여한구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 집무실에서 시진핑 중국 주석과 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5.06.10. ⓒ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기획재정부 1차관에 이형일 통계청장, 2차관에 임기근 조달청장, 외교부 1차관에 박윤주 주아세안대표부 공사, 2차관에 김진아 한국외대 교수를 각각 임명했다. 

또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에는 문신학 산자부 대변인이 임명됐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진두지휘할 통상교섭본부장에는 여한구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선임위원이 발탁됐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이재명 정부는 경제회복과 불황 극복에 인적자원을 집중하기 위해 차관인사를 단행했다. 이번 인사는 경제산업분야 전문가를 임명해서 경제위기를 조속히 해결하는데 중점을 뒀다"며 이같이 밝혔다.

강 대변인은 이형일 기재부 1차관에 대해 "주요 정책라인 경험이 풍부한 거시경제 전문가로 98년 IMF 위기 직후 금융정책국을 경험하는 등 위기에 강한 인물"이라며 "미국 IBRD(국제부흥개발은행) 선임 이코노미스트로 국제적인 감각을 갖췄고 기재부 직원들이 꼽은 '닮고 싶은 상사'에 3차례나 선정될 정도로 내부 신망이 두텁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복합적인 위기에 처한 한국 경제의 현실을 진단하고 해법을 찾을 적임자"라고 강조했다.

임기근 기재부 2차관에 대해선 "기재부의 핵심 보직을 두루 거친 자타공인 예산 전문가"라며 "정책 조정과 성장 전략 분야의 전문성을 겸비했고, 국회 예결위 파견 경험을 바탕으로 국회와의 협력도 능숙하게 해낼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적극 재정으로 위기 극복의 마중물이 되고 성장 전략의 토대를 닦을 예산 정책 전문가로서 앞으로의 활약이 기대된다"고 전했다.

박윤주 외교부 1차관에 대해선 "외교부 북미국 심의관 등 오랜 워싱턴 경험을 바탕으로 북미 지역 현안 해결에 탁월한 전문성을 보였다"며 "미국 트럼프 2기 최우선 과제인 관세 협상 등에서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를 지켜낼 적임자로 손꼽힌다"고 평가했다.

또 김진아 외교부 2차관에 대해선 "한미연합사 정책 자문위원을 역임하는 등 다양하고 입체적 경험이 돋보이는 분"이라며 "한국인으로서는 세 번째로 유엔 사무총장 직속 군축 자문위원을 지낸 유망한 학자 출신"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다음 주에 열리는 G7 회의를 포함해 다자 외교에서 대한민국의 국익을 지켜낼 인물로 큰 기대가 된다"고 강조했다.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에 대해선 "석유와 가스, 원자력을 두루 거친 에너지통으로 산자부 장관 직속의 에너지 전환 국민소통 TF 단장을 맡아서 에너지 전환 정책에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며 "RE100 규제 등 에너지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큰 상황에서 국내 에너지 산업을 총괄하며 미래 전환을 이끌어낼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마지막으로 강 대변인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에 대해 "미국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통상 정책국장으로 통상 정책을 총괄했고, 국제통상과 경제협력 전반을 조망하는 정책 수립과 협상 능력이 탁월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며 "미중 갈등과 관세 협상 등 세계적으로 거세진 통상 무역 갈등 속에서 경제 외교의 중심을 잡을 핵심 인재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고 전했다.

강 대변인은 "이재명 정부는 다음 주로 다가온 G7 국제 외교 무대에서 대한민국의 국익을 지킬 외교 전문가들로 신속하고 새롭게 진용을 꾸렸다"며 "내란으로 인해 망가진 행정부를 신속하게 원상 복구해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를 타개하는 효능감 있는 정부를 만들어 나갈 것을 약속한다"고 밝혔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