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청 공무원 81% “성희롱 국힘 양우식 도의원 제명해야”

성희롱 발언에 공직사회 분노… “책임 회피 말고 결단해야 할 때”

양우식 경기도의원 사퇴를 촉구하는 전공노 경기도청지부 소속 공무원들 ⓒ전공노 경기도청지부

경기도청 공무원들 가운데 81%가 ‘성희롱’ 논란을 빚은 국민의힘 양우식 경기도의원의 ‘제명’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임위원장 사퇴를 요구하는 여론은 98%로 나타나 공무원 노동자들의 양 도의원에 대한 불신과 분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경기도청지부는 17일 지난 6월 10일부터 13일까지 실시한 내부 인식조사 결과를 담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전했다. 925명이 응답에 참여한 이번 조사에서 참여자들은 “해당 의원이 아무 일 없다는 듯 회의를 주재하는 것 자체가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며 분노를 표출하는 등 중징계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양 의원 성희롱 사건은 지난 5월 12일, 경기도청 내부 익명 게시판 ‘와글와글’에 올라온 폭로 글을 통해 알려졌다. 의회운영위 소속 한 주무관은 양 의원이 저녁 약속이 있다는 자신에게 “남자랑 가? 여자랑 가?”라고 묻고, “쓰○○이나 스○○ 하는 거야? 결혼 안 했으니 스○○은 아닐 테고”라고 말했다며 성희롱을 당했다고 고발했다. 이 발언이 알려지자 공직사회와 여론은 크게 들끓었고, 국민의힘 중앙당은 공식 조사와 징계를 약속했다.

하지만, 국민의힘 경기도당 윤리위원회는 당원권 정지 6개월과 당직 해임이라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징계를 의결했다. 이에 따라 양 의원은 도의원직은 유지한 채, 경기도당 수석부대표직만 내려놓게 됐다. 이 같은 조치에 대해 경기도청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강한 불만과 비판이 쏟아졌다.

이번 내부조사에서도 이런 불만이 강하게 드러났다. 응답자 가운데 60%는 ‘보다 엄정한 징계 규정이 필요하다’고 답했고, 39%는 ‘외부 민간위원 참여 등 객관성 확보 장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자유 의견에는 ‘윤리위원회 외부위원 전원 구성’, ‘인권단체 및 노조의 참여 보장’, ‘지방의회 모니터링 제도 도입’ 등 제도 개선 요구가 이어졌다.

그럼에도 경기도의회 윤리특별위원회는 지난 6월 10일, 징계 결정을 유보하고 징계요구안을 자문위원회로 다시 회부하는 결정을 내렸다. 전공노 경기도청지부는 “공무원들은 이 결정이 책임을 회피하고 절차를 반복함으로써 책임을 분산하려는 시도라고 보고 있다. 이미 의견을 제출한 자문위를 다시 거치는 것은 ‘사실상 시간을 끌기 위한 조치’라는 지적이 나온다”고 꼬집었다.

전공노 경기도청지부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요구를 밝혔다. 첫째, 해당 도의원은 운영위원장직에서 스스로 물러나고, 도민과 공직자 앞에 진심 어린 사과의 뜻을 밝혀야 한다. 둘째, 윤리특별위원회는 공직사회의 요구를 무겁게 받아들여, 책임 있는 판단을 조속히 내려야 한다. 셋째, 경기도의회는 객관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외부 민간위원 참여 등 윤리 시스템 개편에 착수해야 한다.

전공노 경기도청지부는 “향후에도 공직사회의 건강한 문화를 지키고, 피해자가 2차 피해를 겪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행동에 나서겠다”면서 “지방의회의 권한은 도민과 공직사회의 신뢰 위에서만 정당성을 가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