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에 금리 또 동결... 올해성장률 전망도 내려

트럼프 금리 인하 압박에도 연준 4.25~4.50% 동결 결정..."물가상승률 다소 높고, 불확실성 여전"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 ⓒ뉴시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18일(현지시간) 연준은 이틀간 진행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직후 기자회견을 열고 기준금리를 4.25~4.50%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한 지난 1월 29일 기준금리를 동결한 연준은 이후 3월 19일, 5월 8일, 그리고 이날까지 4회 연속 기준금리 유지 결정을 내렸다.

연준은 기준금리를 두고 트럼프 대통령과 갈등을 빚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이 기준금리 동결 발표 직전에도 취재진을 만나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비판하며 기준금리를 2%p 낮춰야 한다고 압박했다.

하지만 연준은 또 한 번 기준금리 유지를 결정했다. 연준은 이 같은 결정 이유에 대해 “물가상승률은 여전히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은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파월 의장도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올해 관세 인상은 물가를 올리고 경제활동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크다”며 “경제가 어떻게 전개될지 더 많이 파악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다만 파월 의장은 “관세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상태지만, 4월 피크 후 완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연준의 이번 결정으로 한국(2.50%)과 미국간 금리는 2.00%p를 유지하게 됐다. 연준이 지난달 7일 금리를 동결하면서 한미 금리차는 1.75%포인트였으나, 한국은행이 같은 달 29일 기준금리를 2.75%에서 0.25%포인트 인하하면서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매 분기 말에 공개하는 경제전망예측(SEP)에서 연준은 올해 말 기준금리(중간값)를 3.9%로 예측했다. 연말까지 2차례 0.25%p씩 금리 인하가 있을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지난 3월 SEP 당시 예측치를 유지한 것이다.

또한 연준은 올해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이하 중간값)를 1.7%(지난 3월)에서 1.4%로 내렸다. 작년 12월 2.1%에서 2차례 연속 하향 조정이다.

연준은 또한 연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상승률 예상치를 지난 3월 2.7%에서 3.0%로 올렸고, 연말 '근원 PCE 물가 상승률'(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 품목을 제외한 물가 상승률) 예상치 역시 2.8%에서 3.1%로 상향 조정했다.

이와 함께 연말 실업률 예측치도 4.5%로 3월(4.4%) 발표 때보다 소폭 올렸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