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4년 새 20%가량 오른 생활물가, 저소득층일수록 더 부담”

한국은행, ‘최근 가공식품 등 생활물가 흐름과 수준에 대한 평가’ 자료 공개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 라면 자료사진 ⓒ민중의소리

지난 4년간 누적된 가공식품 등 생활물가 인상 폭이 20%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생활물가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필수재 중심이어서, 그만큼 저소득층의 생활비 부담도 커졌다는 우려가 나온다.

18일 한국은행은 ‘최근 가공식품 등 생활물가 흐름과 수준에 대한 평가’ 자료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저소득층의 지출 비중이 높은 필수재 중심의 생활물가가 더 높은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취약계층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자료에 따르면 물가가 치솟았던 2021년 이후 지난달까지 약 4년간 생활물가 누적 상승률은 19.1%로, 소비자물가(15.9%)보다 3.2%p 높았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공급망 차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기상여건 악화 등 대내외 공급충격이 중첩되면서 생활물가 내 비중(32.4%)이 큰 식료품·에너지 물가가 크게 오른 데 따른 결과다.

생활물가와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격차가 벌어진 건 가공식품의 영향이다. 가공식품 가격이 인상됨에 따라 생활물가 상승률이 높아진 것이다. 실제 지난해 12월과 대비 가공식품 73개 품목 중 53개(73%)의 가격이 인상됐다.

이에 따라 가공식품이 생활물가 상승에 미치는 영향도 커졌다. 지난해 하반기 기준 가공식품이 생활물가를 끌어올리는 데 0.15%p의 영향을 미쳤지만, 올해 1~5월 중엔 0.34%p의 영향을 미쳤다. 가공식품이 생활물가 인상률에 미친 기여도가 두 배 이상 확대된 셈이다.

한국의 생활물가는 다른 나라와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다. 2023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물가를 100으로 봤을 때, 우리나라 식료품·의류·주거비는 각각 156, 161, 123을 기록했다. 세계 주요국 평균을 큰 폭으로 웃돈다는 의미다.

영국 경제 분석기관 EIU 통계(2023년 기준)에서도 우리나라 과일·채소·육류 가격은 OECD의 1.5배 이상으로 집계됐다.

최근 들어 물가상승률이 둔화했음에도 취약계층의 체감물가가 높은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이 같은 필수재의 높은 가격 수준 때문이다.

팬데믹 이후 장기간 이어진 고인플레이션으로 실질구매력이 감소하면서 가계의 부담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생활물가 상승으로 인플레이션 불평등이 심화하면서 저소득층의 생활비 부담이 더 커졌다.

2019년 4분기부터 지난해 4분기까지 누적 실효 물가상승률을 보면 소득하위 20%가 16.0%로 소득상위 20%(15.0%)보다 높았는데, 이는 고물가 충격이 저소득층이 더 컸다는 뜻이다.

한은은 “생활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체감물가가 높은 수준을 지속하는 상황은 가계 기대인플레이션에 영향을 줘 중장기적 관점에서 물가안정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기사 원소스 보기

기사 리뷰 보기

관련 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