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가 집을 비운 사이 발생한 화재로 8·6세 자매가 숨진 가운데 3일 오전 부산 기장군의 한 아파트 6층 화재현장에서 경찰,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이 합동 감식을 벌이고 있다. 2025.07.03. ⓒ뉴시스
대통령실이 부산에서 불이 나 어린이들이 목숨을 잃는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자 후속조치 강구에 나섰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4일 브리핑에서 "부산에서 잇따라 발생한 화재로 어린이들이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사고와 관련해 어제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국무조정실장에게 진정성 있는 후속조치를 당부했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은 "관계부처 고위관계자와 실무진을 부산에 급파해 유가족을 위로하고, 관계기관과 함께 현장상황을 점검해 사고가 반복된 구조적인 원인을 분석한 후 종합대책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스프링클러 설치 사각지대 아파트들과 야간 방임 아동 실태를 점검하는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이 검토돼야 한다면서 국무조정실의 긴밀한 협조를 당부했다"고 부연했다.
앞서 2일 밤 10시 58분께 부산 기장군 기장읍 한 아파트 6층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났다. 출동한 소방대원에 의해 8살, 6살 자매가 집 안에 쓰러진 채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끝내 사망 판정을 받았다. 당시 집안에 부모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부모는 일을 하러 나간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아파트에는 스프링클러가 설치돼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부산에서는 9일 전에도 비슷한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6월 24일 새벽 시 15분께 부산 부산진구 개금동에 있는 한 아파트 4층에서 불이나 10살, 7살 자매가 숨졌다. 당시 부모는 새벽 일을 하러 집을 비운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만의 일은 아니다. 지난 3월 26일 오전 10시 43분께 인천시 서구 심곡동 집에 방학 중 혼자 있던 초등학생이 화재로 중상을 입은 후 병원에서 치료받다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도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