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 시행으로 가계부채 급등세가 주춤하고 있다. 규제 시행 직후 은행권 대출신청액이 절반 이하로 급감했다.
6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정부가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고강도 대출규제 시행한 바로 다음 주(6월30일~7월3일) 은행권 서울 지역 일평균 주담대 신청액은 3,500억원대로 집계됐다.
대출 규제 발표 직전 주(6월23~27일) 일평균 주담대 신청액이 7,400억원에 달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절반 이하(52.7% 감소)로 뚝 떨어진 셈이다.
지난달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은 총 6조7,536억원 늘었다. 올해 들어 가장 큰 증가 폭이자, 지난해 8월(9조6,259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컸다.
대출 종류별로 보면 5대 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지난 3일 기준 전월 말 대비 4,059억원 늘어났다. 신용대출은 634억원 줄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7일 수도권·규제지역의 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신용대출 한도를 연소득 이내로 제한하는 내용의 '가계부채 관리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그리고 이달 1일부터는 수도권의 모든 가계대출에 1.50%의 가산금리를 적용하는 스트레스 DSR 3단계 규제도 시행하고 있다.
국내 부동산 시장 상승세를 이끌어온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의 아파트 매수 심리도 두 달 만에 꺾였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다섯째 주(6월 30일 기준) 기준 서울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8.8로 전주 대비 2.4포인트 하락했다. 5월 첫째 주(100.8) 이후 7주 연속 상승하던 지수가 하락 전환한 것이다.